-
"PER? ROE? 이제 헷갈리지 마세요! 주식 기초 개념 완벽 정리경제 2025. 2. 2. 23:48반응형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서 다양한 용어와 개념에 혼란을 느끼셨다면, 이번 포스팅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주식 초보자분들이 자주 헷갈려 하는 핵심 개념들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릴게요. 함께 알아보시죠! 😊
1. PER (주가수익비율)
- 정의: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력에 비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 계산식: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EPS)
- 예시: PER이 10이라면, 투자한 금액을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으로 10년 만에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 ROE (자기자본이익률)
- 정의: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경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계산식: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예시: ROE가 15%라면, 자기자본 100원으로 15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입니다.
3. PBR (주가순자산비율)
- 정의: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으로, 주가가 기업의 자산 가치에 비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 계산식: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BPS)
- 예시: PBR이 1보다 낮다면, 기업의 자산 가치보다 주가가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4. EPS (주당순이익)
- 정의: 기업의 순이익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냅니다.
- 계산식: EPS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 수
- 예시: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 BPS (주당순자산가치)
- 정의: 기업의 순자산(자산 - 부채)을 총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당 순자산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 계산식: BPS = 순자산 ÷ 총 발행 주식 수
- 예시: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 시가, 종가, 고가, 저가
- 시가: 장 시작 시점(오전 9시)에 형성된 첫 거래 가격
- 종가: 장 마감 시점(오후 3시 30분)에 형성된 마지막 거래 가격
- 고가: 하루 중 가장 높았던 거래 가격
- 저가: 하루 중 가장 낮았던 거래 가격
7. 매수와 매도
- 매수: 주식을 사는 행위
- 매도: 주식을 파는 행위
8. 배당금
- 정의: 기업이 이익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금액으로, 주식 보유에 따른 수익 중 하나입니다.
- 예시: A기업이 주당 1,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한다면, 해당 기업의 주식을 100주 보유한 투자자는 총 100,000원의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주식 투자의 기본 개념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나씩 익혀나가다 보면 투자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꾸준한 학습과 정보 습득으로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는 AI가 뜬다! 매년 반복되는 테마주 투자 노하우 (0) 2025.02.03 주식으로 1억 모은 사람들의 투자 습관 (0) 2025.02.02 거래량부터 고래 지갑까지! 비트코인 시장을 꿰뚫는 비밀 사이트 총정리 (0) 2025.02.02 금값 폭등? 오늘 18K·24K 금 시세와 10냥 팔 때 받는 금액은? (0) 2025.02.01 2025년 연봉 실수령액, 내 통장엔 얼마나 찍힐까? (0)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