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직장인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공제 기준 총정리경제 2025. 2. 8. 23:05반응형
2025년에도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는 직장인들이 매달 월급에서 공제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보험료가 어떻게 부과되고 얼마를 부담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아두면 월급 명세서를 이해하고 계획적인 재정을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 공제 기준을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건강보험료 공제 기준
2025년도 건강보험료율은 2024년과 동일하게 유지되어 **7.09%**입니다.
- 산정 방법:
- **보수월액 × 7.09%**로 계산됩니다.
-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50%씩 부담합니다.
- 추가 보험료 부과:
연간 보수 외 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에 대해 별도의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 보험료 상한액:
- 보수월액보험료 상한: 900만 8,340원
- 근로자가 부담하는 최대 금액은 450만 4,170원입니다.
-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 상한: 450만 4,170원
- 보수월액보험료 상한: 900만 8,340원
2. 고용보험료 공제 기준
고용보험료율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부담하며, 기업의 규모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 근로자 부담: 0.9%
- 사업주 부담: 0.9% +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금
-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금은 기업 규모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릅니다.
- 150인 미만 기업: 0.25%
- 150인 이상 ~ 1,000인 미만 기업: 0.65%
- 1,000인 이상 기업 및 공공기관: 0.85%
-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금은 기업 규모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릅니다.
💡 예시: 월 보수액이 300만 원인 근로자의 경우, 고용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27,000원(300만 원 × 0.9%)이 공제됩니다.
반응형
3.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 확인 포인트
- 월 보수와 소득 확인:
자신의 월 보수액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보수 외 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사업주 부담 비율:
특히 고용보험료는 근로자가 아닌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금이 기업 규모에 따라 달라지므로, 직장 환경에 맞춰 확인이 필요합니다. - 매달 공제 확인: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는 월급 명세서에서 꾸준히 공제되므로, 실제 부담 금액이 변동되지 않는지 매달 확인해 보세요.
마무리
2025년에도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은 직장인의 중요한 재정적 요소입니다. 보험료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계 계획을 세우고, 공제 항목을 정확히 파악하여 월급을 똑똑하게 관리해 보세요!
728x90'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주거 지원 정책 및 전세대출 조건 한눈에 보기 (0) 2025.02.08 2025년 대기업·중소기업 연봉 비교 TOP 10 (1) 2025.02.08 연봉별 세금 비율: 내 소득에 따라 얼마나 세금을 낼까? (0) 2025.02.05 적금 vs 예금, 2025년 최적의 금리 상품 추천 (0) 2025.02.04 월급 300만 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재테크 성공 사례 (0) 2025.02.04 - 산정 방법: